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영업마케팅

Wafer Allocation은 어떻게 하는 걸까

Wafer allocation(웨이퍼 할당)

반도체 공정에서 생산되는 웨이퍼(wafer) 양을 결정하고,

각각의 웨이퍼를 어떤 제품에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웨이퍼는 일반적으로 8인치, 12인치, 16인치 등이 있고,

각 웨이퍼는 수십에서 수백 개의 칩을 담을 수 있다.

 

웨이퍼의 생산량과 어떤 제품에 사용할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Wafer allocation 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반도체 회사는 고객 요구, 생산 능력, 웨이퍼의 재고 상황 등을 고려한다.

 

이를 통해 반도체 회사는 웨이퍼의 생산량과 사용처를 최적화하고,

웨이퍼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생산성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Wafer Allocation 은 어떻게 하는 걸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업무 프로세스로 진행이 된다.

 

 

 1) 고객 수요 확인

 

반도체 회사는 주문 받은 제품의 수량과 종류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제품별로 필요한 웨이퍼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필요한 제품인 ANetdie1,000개 인 제품이라고 가정하자.


 Forecast=FCST 를 통하여 고객사 수요를 확인한다.

1,000~ 2,000개를 사용하기에 연간 A 18,000개 수요가 있으며 

Wafer로 환산하였을 경우, 18장인 것이다.

고객사의 수요는 매월 1~2Wafer가 필요한 상황이며 연간으로는 18장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발생하기 때문에 Wafer Allocation이라는 작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웨이퍼는 25(=1 Lot)을 투입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매월 1~2장 밖에 소요되지 않는 고객을 위하여 25장을 한꺼번에 투입한다는 것은

사업적인 관점에서 상당히 리스크 있는 의사결정이다.

 

그렇기에 각 고객사들의 수요를 모아 Wafer 단위로 계산하여

Wafer Allocation (or Wafer 투입)을 진행할 지 말지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

 

 

2) 생산 계획 수립

 

반도체 회사는 생산 능력을 고려하여 각 제품에 필요한 웨이퍼의 양을 결정한다.

이를 통해 생산 계획을 수립한다.

앞서 1) 에서 이야기 하였듯이 FABCAPA 는 한정되어 있다.

(간혹 CAPA를 늘리면 되지 않냐 라고 하는 사람이 있을까 먼저 말한다면

CAPA를 늘린다는 것은 생산라인을 추가 증설 한다는 것인데

돈이 어마무시하게 투입되고 지속적으로 투입되야할 돈이 더 늘어나기에 쉬운 의사결정이 아니다.)

 

그렇기에 한정된 CAPA, 즉 반도체 회사(FAB 회사) 의 각 공정별 웨이퍼 양 파악이 우선인 것이다.

 

 

3) 웨이퍼 할당

 

각 제품에 필요한 웨이퍼를 할당한다.

이때 고객 우선순위, 제품 별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할당합니다.

A/B/C 라는 고객이 있다. A는 최우수 고객, B는 우수 고객, C는 그냥 고객.

 

C 라는 고객이 먼저 발주를 하였다 하더라도 A라는 고객이 긴급 납기를 요청한다면

C라는 고객을 후순위에 둘 수 밖에 없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당연한 이치이며

특히나 반도체 업계에서는 공공연히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또한 Super Charge, Hot Super Charge 등의

추가 비용을 통한 선투입이라는 방안 또한 있기에 반도체 회사는 슈퍼을 이 되기도 한다.

 

 

질문 : 이러한 상황은 상당수 발생하며 그렇다면 어떻게 Allocation을 해야할까?

(: 비즈니스에 정답은 없다.)